가상자산 시장, 트럼프 관세 정책과 연준 금리 결정에 따른 불확실성
최근 가상자산 시장은 여러 외부 요인으로 인해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다. 특히 미국의 기준금리 결정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경제적 변수는 투자자들의 심리를 위축시키며, 비트코인(BTC)을 비롯한 주요 가상자산들의 가격 하락을 초래했다.
18일 기준으로,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1.99% 하락한 8만 2401.88달러로 거래되었으며, 이더리움(ETH)도 0.78% 하락한 1917.88달러를 기록했다. 또한, 최근 시카고상품거래소(CME) 선물 시장에 상장된 솔라나(SOL)는 3.09% 하락하며 125달러를 기록하는 등, 제도권 선물 시장에 상장된 가상자산들도 가격 하락을 피할 수 없었다.
이러한 가격 하락은 단순히 가상자산 시장에 국한되지 않고, 미국 뉴욕증시와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날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0.62% 하락하며 4만 1581.31로 마감했으며, S&P 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도 각각 1.07%, 1.71% 하락했다. 이는 미국 증시의 전반적인 약세가 가상자산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특히 증시의 하락세는 투자자들에게 추가적인 불안감을 안겨주었고, 이로 인해 가상자산에 대한 투자 심리도 크게 위축되었다.
가상자산 시장의 하락을 더 부추긴 요소는 19일 오후 발표될 예정인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결정이다. 연준의 금리 인상이 예상될 경우, 이는 전통적인 자산 시장뿐만 아니라 위험 자산인 가상자산 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금리 인상이 확정될 경우, 위험 자산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 가능성이 커지며, 이는 다시 한번 가상자산 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연준의 금리 정책이 경제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며, 이런 상황에서 투자자들의 위험 자산에 대한 투자 심리가 더 위축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가상자산이 하락하는 것은 아니었다. 국내 주요 거래소에서는 일부 가상자산들이 상승세를 보였다. 예를 들어, 빗썸에서 비트코인은 0.65% 상승한 1억 2099만 7000원, 이더리움은 1.15% 상승한 281만 5000원으로 거래되었으며, 엑스알피(XRP)와 솔라나(SOL) 역시 각각 0.96%, 1.49% 상승했다. 이러한 상승은 일부 투자자들이 가상자산 시장의 단기 하락을 매수 기회로 보고 투자를 늘린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전체 시장의 분위기는 침체되어 있다. 알터너티브닷미의 크립토공포탐욕지수는 현재 34포인트로, '공포'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지수는 투자자들의 시장에 대한 심리를 나타내는 지표로, 0에 가까울수록 시장에 대한 불안감이 커짐을 의미한다. 현재 지수는 투자자들이 가상자산 시장에 대해 매우 불안해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가상자산 시장은 미국의 금리 정책,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뉴욕 증시의 동향 등 다양한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투자자들은 이러한 변수를 면밀히 분석하고 리스크를 관리해야 한다. 가상자산 시장의 향후 전망은 연준의 금리 결정, 글로벌 경제의 흐름, 그리고 투자자들의 심리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불확실성 속에서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며, 시장의 변동성에 대비한 전략이 중요해졌다.

'재테크 및 정보공유 >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빗썸, 마브렉스(MBX) 에어드랍 이벤트 및 아발론과 플룸 에어드랍 지급 확인 (0) | 2025.03.21 |
---|---|
허니게인(honeygain), 이제 곧 두 달 차. 벌써 반 이상 모았다. (0) | 2025.03.20 |
밀가루와 소화 효소: 소화 불량의 원인과 해결책 (0) | 2025.03.12 |
수면 시간이 짧으면 왜 아침에 더 잘 일어날까? (0) | 2025.03.09 |
3일 거래로 얻는 소소한 수익, 빗썸 AVL 에어드랍 이벤트 (0)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