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및 정보공유/정보공유

수면 시간이 짧으면 왜 아침에 더 잘 일어날까?

by 보통의아이 2025. 3. 9.
728x90

수면 시간이 짧으면 왜 아침에 더 잘 일어날까?


수면 시간이 길 때보다 짧을 때 아침에 더 잘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이 "잠을 오래 자야 개운하게 일어날 수 있다"라고 생각하지만, 의외로 수면 시간이 짧을 때 더 쉽게 일어나는 경험을 하곤 한다. 이는 수면의 질과 뇌의 생체 리듬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단순히 수면 시간이 길다고 해서 더 개운한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수면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1. 수면 사이클과 기상 시점

사람의 수면은 렘(REM) 수면과 비렘(NREM) 수면으로 나뉜다. 비렘 수면은 다시 1~3단계로 구분되며, 깊은 수면일수록 깨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수면 주기는 약 90분 간격으로 반복되는데, 이때 얕은 수면 상태에서 깨어나면 개운하게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7시간 30분(90분 × 5주기)이나 6시간(90분 × 4주기) 잤을 때는 렘수면이나 얕은 비렘 수면에서 깨어날 가능성이 높아 쉽게 일어날 수 있다. 반면, 9시간 이상을 자면 깊은 수면 단계에서 강제로 깨어나게 되어 더 피곤함을 느낄 수도 있다.

2. 깊은 수면이 많으면 오히려 피곤할 수도 있다

깊은 수면(비렘 3단계)은 몸의 회복과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너무 길어지면 기상 후 뇌가 즉시 활성화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수면 관성(Sleep Inertia)이라고 하는데, 쉽게 말해 "잠이 덜 깨서 멍한 상태"가 지속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적절한 깊은 수면과 얕은 수면의 균형이 중요하며, 무조건 오래 자는 것이 좋은 것은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다.

3. 수면 시간이 짧을 때도 깨어나기 쉬운 이유

수면 시간이 짧아도 기상 직전의 상태가 중요하다. 4~5시간만 자더라도 마지막 수면 주기의 끝자락에서 깨게 되면 상대적으로 개운하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짧게 잤을 때는 뇌가 "더 이상 자면 안 된다"는 신호를 보내면서 각성 호르몬(코르티솔)이 빠르게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오래 자면 코르티솔이 서서히 증가하기 때문에 일어나기가 더 힘들 수 있다.

4. 아침에 개운하게 일어나기 위한 방법

90분 단위로 수면 시간을 조절하기: 6시간, 7시간 30분 등 수면 주기에 맞춰 알람을 설정하면 더 쉽게 일어날 수 있다.

일정한 기상 시간을 유지하기: 기상 시간이 불규칙하면 생체 리듬이 깨져서 피곤함이 더 커진다.

자기 전 과식, 스마트폰 사용 줄이기: 불필요한 각성을 줄이면 수면의 질이 향상되어 적은 수면 시간으로도 개운하게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아침 햇빛을 쬐기: 기상 후 즉시 햇빛을 보면 생체 리듬이 안정되고 자연스럽게 졸음이 줄어든다.

결론적으로 수면 시간이 길다고 해서 반드시 개운하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수면의 질과 수면 주기에 맞는 기상 타이밍이다. 짧게 자더라도 적절한 타이밍에 일어나면 오히려 더 개운할 수 있으며, 수면 습관을 조절하면 아침 기상을 더욱 수월하게 만들 수 있다.

728x90